니콜라이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2세는 1894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였다. 그는 알렉산드르 3세의 아들로, 유약한 성격과 시대착오적인 전제정치를 고수하여 개혁 요구를 묵살했다.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국민의 신뢰를 잃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경제가 파탄나면서 1917년 2월 혁명으로 퇴위했다. 이후 가족과 함께 감금되었다가 1918년 7월 예카테린부르크에서 볼셰비키에 의해 살해되었다. 2000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러일 전쟁 관련자 - 세르게이 비테
세르게이 율리예비치 비테는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이자 총리로서 러시아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시베리아 횡단철도 건설, 금본위제 도입, 포츠머스 조약 체결, 1905년 혁명 당시 개혁 촉구 등 격동기 러시아 정치·경제 상황에 깊숙이 관여한 인물이다. - 러시아의 러일 전쟁 관련자 - 게오르기 가폰
게오르기 가폰은 러시아 제국의 사제이자 노동 운동 지도자로,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당시 노동자들의 행진을 이끌었으며 사회혁명당과 연대했으나 암살당했고, 그의 활동과 자서전은 러시아 혁명과 당시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대십자 올덴부르크 가 페터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공작 공훈장 수훈자 - 파울 폰 힌덴부르크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영웅이자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이었으나,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여 나치즘 집권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 인물로, 군사적 성공과 정치적 책임 사이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 대십자 올덴부르크 가 페터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공작 공훈장 수훈자 - 에리히 루덴도르프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장군으로 파울 폰 힌덴부르크와 함께 독일의 전쟁 수행을 주도하며 뛰어난 전략으로 승리를 거두었지만, 전쟁 후 극우 정치 활동과 독자적인 종교·정치 활동을 펼쳐 역사적으로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 러시아에서 사형된 사람 -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러시아 제국의 대공이자 알렉산드르 3세의 아들이며 니콜라이 2세의 동생이었으나, 평민 여성과의 결혼으로 황실의 분노를 샀고 러시아 혁명 이후 살해당했다. - 러시아에서 사형된 사람 -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1872년)
헤센 대공국의 공주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는 니콜라이 2세의 황후로서 러시아 황실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독일 혈통과 라스푸틴과의 관계로 민중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남편과 자녀들과 함께 처형되었다.
니콜라이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니콜라이 2세 알렉산드로비치 |
로마자 표기 | Nikolai II Aleksandrovich Romanov |
러시아어 표기 | Николай II Александрович Романов |
러시아어 발음 | nʲɪkɐˈlaj ftɐˈroj ɐlʲɪkˈsandrəvʲɪtɕ rɐˈmanəf |
출생일 | 1868년 5월 18일 (구 5월 6일) |
출생지 | 알렉산드르 궁전, 차르스코예 셀로,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918년 7월 17일 |
사망지 | 이파티예프 하우스, 예카테린부르크,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매장일 | 1998년 7월 17일 |
매장지 | 성 베드로와 성 바울 대성당,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연방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
![]() | |
통치 | |
직위 | 러시아 황제 |
재위 기간 | 1894년 11월 1일 – 1917년 3월 15일 |
대관식 | 1896년 5월 26일 |
대관식 장소 | 모스크바 우스펜스키 대성당 |
이전 통치자 | 알렉산드르 3세 |
후임 통치자 | 2월 혁명으로 군주제 폐지 |
배우자 및 자녀 | |
배우자 | 알릭스 (헤센과 라인 공녀) |
결혼일 | 1894년 11월 26일 |
자녀 |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 |
가문 | |
왕가 |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가문 |
아버지 | 알렉산드르 3세 |
어머니 | 마리아 표도로브나 (덴마크의 다우마) |
기타 | |
칭호 | 전 러시아의 황제 폴란드 국왕 핀란드 대공 |
러시아 제국 재상 | 니콜라이 붕게 (1887–1895) 이반 두르노보 (1895–1903) 세르게이 비테 (1903–1905) |
러시아 각료평의회 의장 | 세르게이 비테 (1905-1906) 이반 고레미킨 (1906) 표트르 스톨리핀 (1906-1911) 블라디미르 코콥소프 (1911-1914) 이반 고레미킨 (1914-1916) 보리스 슈티우르메르 (1916) 알렉산드르 트레포프 (1916) 니콜라이 골리친 (1916-1917) |
폴란드 총독 | 알렉산드르 이메레틴스키 (1896–1900) 미하일 체르트코프 (1900–05) 콘스탄틴 막시모비치 (1905) 게오르기 스칼론 (1905–14) 야코프 질린스키 (1914) 파벨 옝갈리체프 (1914–1915) |
핀란드 총독 | 표도르 로기노비치 헤이덴 (1881–1897) 스테판 곤차로프 (1897 -1898; 권한대행) 니콜라이 보브리코프 (1898–1904) 이반 오볼렌스키 (1904–1905) 니콜라이 게라르드 (1905–1908) 블라디미르 베크만 (1908–1909) 프란츠 알베르트 알렉산드로비치 세인 (1909–1917) 아담 립스키 (1917; 권한대행) 미하일 스타호비치 (1917) 니콜라이 비사리오노비치 네크라소프 (1917) |
핀란드 원로원 경제부 부장 | 스텐 칼 투데르 (1891년–1900년) 콘스탄틴 린데르 (1900년–1905년) 에밀 스트렝 (1905년) 레오폴드 헨리크 메켈린 (1905년–1908년) 에드바르드 임마누엘 혤트 (1908년–1909년) 아우구스트 요한네스 혤트 (1909년) 안데르스 비레니우스 (1909년) 블라디미르 마르코프 (1909년–1913년) 미하일 보로비티노프 (1913년–1917년) 안데르스 비레니우스 (권한대행, 1917년) |
로마노프 가문 사촌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게오르기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키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 보리스 블라디미로비치 대공 안드레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 드미트리 파블로비치 대공 이반 콘스탄티노비치 대공 |
성인 | 러시아 정교회의 성인 |
시성일 | 2000년 8월 |
주요 성지 | 전 러시아에 빛나는 모든 성인들의 교회 |
기념일 | 7월 17일 |
2. 생애
니콜라이 2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황태자 알렉산드르 3세와 덴마크 출신 다그마르 사이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남에게 봉사하는 따뜻한 성품을 지녔지만, 너무 유약하여 군주감으로는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47][248][249]
1881년 알렉산드르 2세가 폭탄 테러로 암살당하자, 알렉산드르 3세가 즉위하면서 니콜라이는 황태자가 되었다. 그는 할아버지의 비참한 죽음을 목격하고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전제 정치 강화를 결심하게 되었다.
1894년 아버지 알렉산드르 3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니콜라이 2세는 26세의 젊은 나이에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22] 그는 황제가 될 준비가 부족하다고 느꼈고, 즉위식에서 목걸이가 떨어지는 불길한 징조를 겪었다.[288]
1896년 5월 26일, 모스크바 크렘린의 성모안식주교좌당에서 공식적인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대한제국에서는 민영환을 단장으로, 윤치호 등을 포함한 사절단이 대관식에 참석했다.[7]
대관식 직후인 5월 30일, 축제 기간 중 옥외 행사에서 발생한 호딘카 참사로 1,389명이 압사하고 1,300명이 부상당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니콜라이 2세는 애도를 표하고 행사를 취소했지만, 초기부터 민심을 잃는 계기가 되었다.
니콜라이 2세는 가정적인 남편이자 아버지였지만, 시대착오적인 전제정치를 고수하며 개혁 요구를 묵살했다.[293] 언론을 탄압하고, 비정교회 신자와 소수민족, 특히 유대인을 박해하여 차르와 정권에 대한 반대 시위가 일어났다.[291] 1901년 니콜라이 보골레포프, 1902년 드미트리 스피야긴, 1903년 보그다노비치와 플레프, 1904년 비야체슬라프 플레베가 암살되었다.
라스푸틴은 황후 알렉산드라의 후원을 받아 정치에 간섭하며 악정을 펼쳤다. 이는 니콜라이 2세가 시대착오적인 반동정치를 계속하게 만들었고, 전제 정치의 힘을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러시아는 표트르 스톨리핀 총리의 개혁으로 연평균 7%의 산업 성장을 보이며 잠시 안정을 찾는 듯했다. 그러나 1911년 스톨리핀 총리가 암살되면서 개혁은 사실상 종결되었다.
국내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니콜라이 2세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총동원령을 내려 많은 병력을 파병했다. 초기에는 민중들의 애국심에 힘입어 전쟁을 지지했지만, 탄넨베르크 전투에서 지휘관들의 무능함으로 인해 대패했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수많은 젊은이들이 군에 지원하여 노동력이 급격히 저하되었고, 국내 불안은 더욱 고조되어 제정 러시아의 한계가 드러났다.
1917년 3월 8일,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17] 9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빵을 달라”고 외치며 파업에 참여했고, 이틀 후 시위는 시내 전체로 확산되었다(2월 혁명).[17]
이에 니콜라이 2세는 무력 진압을 명령했다.[17] 그러나 3월 12일, 볼린스키 연대의 하사가 지휘관을 쏘는 것을 시작으로 군대, 기병대도 혁명군에 가담했고, 시위 진압 지휘를 하던 사령관들은 진압을 포기했다.[17]
큰 배신감을 느낀 니콜라이 2세는 제위에서 스스로 물러나겠다는 선언을 한다.[17] 정부는 총사퇴하고, 케렌스키의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17]
1917년 3월, 러시아 임시 정부는 니콜라이 2세와 가족들을 츠르스코예 셀로의 알렉산드르 궁전에 가택 연금했다.[128]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서시베리아의 토볼스크를 선택했다.[135] 1917년 8월, 니콜라이 2세 가족은 토볼스크의 전 주지사 관저에 도착하여 비교적 편안한 생활을 했다.[138] 그러나 1917년 10월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상황이 변했다.[139]
1918년 4월, 니콜라이 2세와 가족들은 예카테린부르크의 이파티예프 저택에 수감되었다.[155]
1918년 7월 17일 새벽, 니콜라이 2세와 그의 가족, 그리고 그들과 함께 남은 시종들은 이파티예프 저택 지하실에서 총살당했다.[52][53]
2. 1. 유년 시절과 즉위
니콜라이 2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황태자 알렉산드르 3세와 덴마크 출신 다그마르 사이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남에게 봉사하는 따뜻한 성품을 지녔지만, 너무 유약하여 군주감으로는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881년 알렉산드르 2세가 폭탄 테러로 암살당하자, 알렉산드르 3세가 즉위하면서 니콜라이는 황태자가 되었다. 그는 할아버지의 비참한 죽음을 목격하고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전제 정치 강화를 결심하게 되었다.
1891년, 니콜라이는 세계 여행 중 일본 제국을 방문했을 때 오쓰 사건으로 암살 위기에 처했으나, 동행 중이었던 친척 요르요스에게 구조되었다. 1894년에는 빅토리아 여왕의 외손녀 알렉산드라와 약혼했다.
당대의 평가는 니콜라이 2세를 선의를 가졌으나 결단력이 부족한 지도자로 묘사하며, 그의 통치 행위는 주변 조언자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평가한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니콜라이 2세를 잔혹한 폭군으로 묘사하는 국가 선전이 널리 퍼졌다.[195] 그러나 대다수의 역사가들은 니콜라이 2세가 선의를 가졌지만, 국가가 직면한 문제들을 처리할 능력이 없는 무능한 통치자였다는 데 동의한다.[197][2][3][198]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러시아 역사가들은 니콜라이 2세에 대해 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201]
2. 1. 1. 생애 초기


니콜라이 2세는 1868년 5월 6일(율리우스력 5월 18일) 상트페테르부르크 남쪽 차르스코예 셀로의 알렉산드르 궁전에서 황태자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와 황태후 마리아 표도로브나 부부의 맏아들로 태어났다.[242][243][244] 그의 이름은 아버지의 형이자 어머니의 전 약혼자였던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황태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44]
니콜라이는 주로 독일과 덴마크계 혈통이었으며, 유럽의 여러 군주들과 친척 관계였다. 그의 어머니의 형제 자매에는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8세, 그리스의 조지 1세, 영국의 알렉산드라 왕비가 포함되었다. 니콜라이는 영국의 조지 5세와는 사촌 관계였다.[7]
어린 시절 니콜라이는 남에게 봉사하는 따뜻한 성품을 지녔지만, 너무 유약하여 군주감으로는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47][248][249] 1881년 알렉산드르 2세가 암살당하면서 아버지가 알렉산드르 3세로 즉위하자, 니콜라이는 황태자가 되었다.
1890년 니콜라이는 동생 조지와 사촌인 그리스의 조지 왕자와 함께 세계 여행을 떠났다. 이들은 이집트, 인도, 싱가포르, 샴, 청을 거쳐 일본을 방문했다. 1891년 일본 방문 중 오쓰 사건으로 암살 위기에 처했으나, 동행했던 요르요스 왕자에게 구조되었다.[55] 이 사건으로 니콜라이는 이마 오른쪽에 9센티미터 길이의 상처를 입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1894년, 니콜라이는 빅토리아 여왕의 외손녀이자 앨리스 공주의 넷째 딸인 알렉산드라와 약혼했다.
2. 1. 2. 즉위 초기
1894년 아버지 알렉산드르 3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니콜라이 2세는 26세의 젊은 나이에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22] 같은 해 11월 26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겨울궁에서 알릭스와 결혼식을 올렸다.[287] 그는 황제가 될 준비가 부족하다고 느꼈고, 즉위식에서 목걸이가 떨어지는 불길한 징조를 겪었다.[288]1896년 5월 26일, 모스크바 크렘린의 성모안식주교좌당에서 공식적인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대한제국에서는 민영환을 단장으로, 윤치호 등을 포함한 사절단이 대관식에 참석했다.[7]
대관식 직후인 5월 30일, 축제 기간 중 옥외 행사에서 발생한 호딘카 참사로 1,389명이 압사하고 1,300명이 부상당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니콜라이 2세는 애도를 표하고 행사를 취소했지만, 초기부터 민심을 잃는 계기가 되었다.
니콜라이 2세는 가정적인 남편이자 아버지였지만, 시대착오적인 전제정치를 고수하며 개혁 요구를 묵살했다.[293] 언론을 탄압하고, 비정교회 신자와 소수민족, 특히 유대인을 박해하여 차르와 정권에 대한 반대 시위가 일어났다.[291] 1901년 니콜라이 보골레포프가 암살되고, 1902년 드미트리 스피야긴이 암살되었으며, 1903년 보그다노비치와 플레프가 암살되었고, 1904년에는 비야체슬라프 플레베도 폭탄 테러로 암살되었다.
라스푸틴은 황후 알렉산드라의 후원을 받아 정치에 간섭하며 악정을 펼쳤다. 이는 니콜라이 2세가 시대착오적인 반동정치를 계속하게 만들었고, 전제 정치의 힘을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2. 2. 몰락
니콜라이 2세는 선의를 가졌으나 결단력이 부족한 지도자로 묘사되며, 주변 조언자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평가를 받는다.[2]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니콜라이 2세가 잔혹한 폭군으로 묘사되었으나,[195] 역사학자들은 대체로 그가 국가가 직면한 문제들을 처리할 능력이 없는 무능한 통치자였다는 데 동의한다.[197][2][3][198] 로버트 K. 매시는 니콜라이 2세의 개인적인 도덕성을 강조하며 그를 비극적인 인물로 묘사한다.[200]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러시아 역사가들은 니콜라이 2세에 대해 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201]1891년, 니콜라이 황태자는 나가사키를 방문하여 일본 문화를 접하고 용 문신을 새겼다.[262] 가고시마에서는 시마즈 타다요시 공작의 환영을 받았고,[264] 고베를 거쳐 교토를 방문하여 일본 전통 문화를 체험했다.[265]

1891년 5월 11일, 오쓰에서 쓰다 산조 순사가 니콜라이 황태자를 찌르는 오쓰 사건이 발생했다.[267] 니콜라이는 두개골에 열상을 입었지만,[268] 메이지 천황의 사과와 일본 국민들의 동정 여론에 감동했다.[272][273][274][271] 그러나 이 사건으로 니콜라이는 일본인에 대한 혐오감을 갖게 되었고,[244][268] 이는 러일전쟁의 한 원인이 되었다는 분석도 있다.[271]
귀국 후 니콜라이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에 관심을 가졌고,[260] 1894년 알릭스와 결혼했다.[285] 1896년 즉위식 후 호딘카 참사가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지만, 니콜라이 2세는 냉담한 반응을 보여 국민들의 반감을 샀다.
니콜라이 2세는 세르게이 비테를 중용하여 경제 근대화를 추진했지만,[39] 러일 전쟁에서 패배하고[315] 국내 혁명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위기에 직면했다.[323] 1905년 10월 선언을 통해 의회 설립을 약속했지만,[39] 이후에도 전제정치를 강화하고[39] 표트르 스톨리핀의 개혁을 중단시키는 등[39] 시대착오적인 모습을 보였다.

2. 2. 1. 피의 일요일
1905년 1월 22일, 평소라면 성당에 갈 시간에 굶주린 15만 명의 노동자들이 황제에게 임금 인상을 청원하기 위해 성가를 부르며 황궁으로 향했다. 청원 행렬은 20만 명 이상으로 불어났고, 러시아 정교회의 게오르기 가폰 신부가 이끌었다. 이들은 부당 해고에 항의하며 황제에게 직접 청원서를 제출하려 했다.오후 2시, 광장에 모인 행렬을 향해 황제의 군대가 일제 사격을 가했고, 대포도 발사되었다. 이로 인해 1천 명 이상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마지막으로 황제의 기병대가 돌격하여 칼을 휘둘렀다. 이 사건으로 인해 거룩한 주일은 피의 일요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노동자 파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모스크바, 사라토프, 바르샤바 등지에서 연일 시위가 벌어졌다. 66개 도시에서 44만 명의 노동자들이 작업을 중단했다. 10월에는 대규모 파업으로 러시아 경제가 파탄에 빠졌고, 3000가구 이상의 귀족 저택이 파괴되었으며, 1월부터 10월까지 2700회의 봉기가 일어났다.
조선과 만주를 두고 일본 제국과 러일 전쟁 중이었던 러시아 정부는 내우외환의 위기에 직면했다. 세르게이 비테는 의회 구성을 약속하며 국민을 설득하여 난국을 진정시켰으나, 제국 정부의 도덕적 정통성이 무너져 로마노프 왕조의 붕괴는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사건은 러시아 혁명의 발단이 되었다.
피의 일요일(1905년 1월 9일(율리우스력 1월 22일)) 며칠 전, 사제이자 노동 지도자인 게오르기 가폰은 노동자들의 차르에게 보내는 탄원서를 전달하기 위해 겨울궁전으로 향하는 행진을 정부에 알렸다. 1월 8일(율리우스력 1월 21일) 토요일, 장관들은 상황을 고려하기 위해 모였다. 장관들의 조언에 따라 수도를 떠나 차르스코예 셀로에 머물던 차르가 실제로 가폰을 만날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없었다. 황족의 다른 구성원이 탄원서를 받는다는 제안은 거부되었다.[68]
마침내 경찰청장으로부터 가폰을 추종자들 사이에서 떼어내 체포할 인력이 부족하다는 통보를 받은 새로 임명된 내무장관 스비아토폴크-미르스키 공작과 그의 동료들은 도시를 강화하기 위해 추가 병력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그날 저녁 니콜라이는 일기에 "주둔군을 강화하기 위해 교외에서 병력이 투입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노동자들은 조용했습니다. 그들의 수는 12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그들의 연합의 수장은 가폰이라는 일종의 사회주의 사제입니다. 미르스키는 오늘 저녁 취한 조치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기 위해 왔습니다."라고 적었다.[68]
1905년 1월 9일(율리우스력 1월 22일) 일요일, 가폰은 행진을 시작했다. 노동자들은 팔짱을 끼고 거리를 평화롭게 행진했다. 일부는 종교적 성상과 깃발뿐만 아니라 국기와 차르의 초상화를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걸어가면서 찬송가와 ''차르를 구하소서''를 불렀다. 오후 2시에 모든 집결 행렬이 겨울궁전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군대와의 단일한 충돌은 없었다. 도시 전역에서 전략적인 대로의 다리에서 행진자들은 보병 부대가 코사크와 헝가리 기병으로 뒷받침되는 대열에 의해 길이 막힌 것을 발견했고, 병사들은 군중에게 발포했다.[69]
사망자 수는 공식적으로 92명이고 부상자는 수백 명이었다. 가폰은 사라졌고 행진의 다른 지도자들은 체포되었다. 수도에서 추방된 그들은 제국 전역을 돌아다니며 사상자 수를 늘렸다. 총알이 그들의 성상, 깃발, 니콜라이의 초상화에 박히자 사람들은 "차르는 우리를 돕지 않을 것이다!"라고 비명을 질렀다.[69] 러시아 밖에서는 미래의 영국 노동당 총리 램지 맥도널드가 차르를 공격하며 그를 "피에 물든 괴물이자 평범한 살인자"라고 불렀다.[70]
그날 저녁 니콜라이는 일기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그의 여동생인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대공녀는 나중에 다음과 같이 썼다.
은신처에서 가폰은 편지를 발표하여 "니콜라이 로마노프, 전 차르이자 현재 러시아 제국의 영혼 살인자. 노동자들과 그들의 아내와 자녀들의 순수한 피가 영원히 당신과 러시아 국민 사이에 있습니다... 흘려야 할 모든 피가 당신, 교수대에 매달릴 자에게 떨어지기를 바랍니다. 저는 러시아의 모든 사회주의 정당에 즉각적인 합의에 도달하고 차르 체제에 대한 무장 봉기를 일으킬 것을 촉구합니다."라고 말했다.[70]
1905년 1월 9일, 막대한 러일 전쟁 전비와 연이은 패전으로 고통받던 민중이 황제에게 탄원서를 들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겨울궁전 광장에 접근하자, 군인들은 무장하지 않은 10만 명의 군중에게 발포하여 2,000~3,000명의 사망자와 1,000~2,000명의 부상자를 냈다(피의 일요일 사건).
2. 2. 2. 무능함과 더욱 악독해진 전제정치
니콜라이 2세는 황후 알렉산드라가 혈우병을 앓는 아들 알렉세이를 치료하기 위해 라스푸틴을 초청하면서 정치에 무능한 모습을 보였다.[39] 라스푸틴은 황후의 후원을 등에 업고 황제를 대신하여 나라를 암묵적으로 다스리며 악정을 펼쳤다.[39] 이로 인해 니콜라이 2세는 부황 못지않은 시대착오적인 반동 정치를 계속하여 전제정치의 힘만 더욱 강해졌다.[39]1881년의 임시법을 계속 적용, 확대하여 언론과 사상을 엄격히 통제했고, 교육에도 일부 제한을 가했다.[39] 젬스트보와 시 정부의 권한은 더욱 축소됐으며, 젬스트보의 과세 대상도 줄였다.[39] 젬스트보 위원과 고용인의 임명 비준을 거부하여 정권에 충성하는 사람만이 공적인 지위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기도 했다.[39]
종교 핍박도 더욱 심해졌다. 분리파 정교도가 심한 탄압을 받았고, 아르메니아 교회와 그 밖의 종파들에도 일부 제약이 가해졌다.[39] 유대인의 지위도 더 악화됐다. 유대인의 토지 매입을 일부 규제했고, 1903년 베사라비야의 키시뇨프에서 시작돼 우크라이나 일대로 확대된 대규모의 유대인 약탈과 학살을 방관했다.[39]
1809년 러시아에 합병된 이래 상당한 자치권을 부여받고 있던 핀란드에도 강력한 러시아화 정책을 추진하여 많은 권리를 박탈했다.[39] 반대 운동이 격화되면서 핀란드는 혁명 세력의 주요 근거지가 됐다.[39]
경제 면에서는 1906년까지 비테를 계속 중용, 강력한 산업화 정책으로 큰 성과를 낳았으나, 균형 잃은 산업화는 결국 위기에 처하게 된다.[39]
2. 3. 피의 일요일 이후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러시아는 표트르 스톨리핀 총리의 개혁으로 연평균 7%의 산업 성장을 보이며 잠시 안정을 찾는 듯했다. 그러나 1911년 스톨리핀 총리가 암살되면서 개혁은 사실상 종결되었다.국내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니콜라이 2세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총동원령을 내려 많은 병력을 파병했다. 초기에는 민중들의 애국심에 힘입어 전쟁을 지지했지만, 탄넨베르크 전투에서 지휘관들의 무능함으로 인해 대패했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수많은 젊은이들이 군에 지원하여 노동력이 급격히 저하되었고, 국내 불안은 더욱 고조되어 제정 러시아의 한계가 드러났다.
1914년 8월부터 1915년 8월까지 러시아군은 병력의 절반을 잃었고, 140만 명이 전사하고 97만 6000명이 포로가 되었다. 각지에서 파업과 시위가 발생했으며, 니콜라이 2세는 1915년부터 직접 최전선 전투 지휘에 나섰다. 국정은 황후에게 맡겨졌고, 황후를 등에 업은 그리고리 라스푸틴을 중심으로 국정이 파탄났다.
특히 라스푸틴의 폭정과 착취는 전대미문의 규모였다. 민중들 사이에서는 라스푸틴과 황후, 공주들이 불건전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
결국 황제와 친했던 관리들마저 라스푸틴의 악행에 사퇴하여 혁명파에 가담하는 이들이 생겨났다. 1916년 12월, 니콜라이 2세의 친척 측근인 펠릭스 유수포프 공작을 비롯한 관리들이 라스푸틴을 암살했다. 그러나 라스푸틴은 극약을 먹고도 2시간 동안 춤을 추는 등 초인적인 체력을 보이다가 총에 맞고도 죽지 않았다. 이후 라스푸틴의 변사체가 발견되었는데, 사망 원인은 독극물도, 총살도 아닌 익사였다. 이미 혁명의 기운은 막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2. 3. 1. 진압령과 배신
1917년 3월 8일,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17] 9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빵을 달라”고 외치며 파업에 참여했고, 이틀 후 시위는 시내 전체로 확산되었다(2월 혁명).[17] 시위대는 라 마르세예즈를 부르며 붉은 깃발을 휘날렸다.[17]이에 니콜라이 2세는 내무장관 알렉산드르 프로토포포프에게 무력 진압을 명령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군 병력을 배치하여 시위대를 저지하려 했다.[17] 그러나 3월 12일, 볼린스키 연대의 하사가 지휘관을 쏘는 것을 시작으로 세모노프스키, 이스마일로프스키, 리토프스키, 프로오브라젠스키 수비대까지 혁명에 가담했다.[17]
결국 군대는 물론 기병대조차 시위대에 동정심을 느껴 혁명군에 가담했고, 시위 진압 지휘를 하던 사령관들은 진압을 포기했다.[17] 황제와 친했던 관리들마저 사퇴하여 혁명파에 합류하는 이들이 있었다.[17]
큰 배신감을 느낀 니콜라이 2세는 제위에서 스스로 물러나겠다는 선언을 한다.[17] 정부는 총사퇴하고, 케렌스키의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17]
니콜라이 2세는 아들 알렉세이에게 제위를 물려주려 했으나, 혈우병을 앓고 있는 아들의 건강을 염려하여 동생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에게 양위하기로 결정했다.[17] 그러나 노동자와 농민들은 미하일 역시 니콜라이 2세와 다를 바 없다며 반대했다.[17]
임시 정부는 미하일에게 제위를 포기할 것을 권고했고, 미하일은 이를 받아들였다.[17] 이로써 군주제는 폐지되었고, 304년 동안 지속된 '홀슈타인-로마노프 왕조'는 막을 내리게 된다.[17]
2. 3. 2. 임시 정부와 10월 혁명
1917년 3월, 케렌스키의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2월 혁명을 주도했음에도 '가난한 국가'라는 오명을 벗지는 못했다. 케렌스키는 파격적이고 근본적인 개혁안을 내놓았지만, 식량 부족 문제는 여전했다.[19]1917년 10월, 민중들은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2월 혁명이 많은 피를 흘린 것과 달리, 10월 혁명은 무혈 혁명으로 마무리되었으며 기간도 길지 않았다. 케렌스키 내각은 퇴임을 선언하고 레닌 주도의 볼셰비키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19]
케렌스키는 니콜라이 2세와 달리 서유럽 제도를 러시아에 제도화시킨 공로와 제정 반대, 온건 정책 추진 등의 공로를 인정받아 자유인의 몸이 되었다.[19]
2. 3. 3. 퇴위 이후
1917년 3월, 러시아 임시 정부는 니콜라이 2세와 가족들을 츠르스코예 셀로의 알렉산드르 궁전에 가택 연금했다.[128] 그해 여름, 케렌스키 공세의 실패와 페트로그라드에서의 반정부 폭동으로 인해, 임시 정부는 황실 가족을 더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기로 결정했다.[134]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서시베리아의 토볼스크를 선택했다.[135] 1917년 8월, 니콜라이 2세 가족은 토볼스크의 전 주지사 관저에 도착하여 비교적 편안한 생활을 했다.[138] 그러나 1917년 10월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상황이 변했다.[139]1918년 2월, 모스크바의 인민위원회 평의회(소브나르콤)는 가족에 대한 국가 보조금을 대폭 감소시켰다.[144] 3월에는 옴스크와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온 적위대 간의 경쟁으로 토볼스크의 상황이 악화되었다.[148] 소브나르콤은 바실리 야코블레프를 위원으로 임명하여 토볼스크를 담당하고 로마노프 가족을 예카테린부르크로 이송시켰다.[149]
1918년 4월,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딸 마리아는 야코블레프와 함께 토볼스크를 떠나 튜멘을 거쳐 예카테린부르크로 향했다.[153][154] 4월 30일, 그들은 예카테린부르크의 이파티예프 저택에 수감되었다.[155] 나머지 가족들은 5월 23일에 합류했다.[158]
1918년 7월 17일 새벽, 니콜라이 2세와 그의 가족, 그리고 그들과 함께 남은 시종들은 이파티예프 저택 지하실에서 총살당했다.[52][53] 처형은 야코프 유로프스키가 이끄는 체카 비밀경찰 출신 등이 담당했다.[157]
처형 당시 상황에 대한 여러 기록이 있지만, 역사학자들은 사건의 전말에 대해 확실하게 알지 못한다. 유로프스키의 기록에 따르면, 가족들은 새벽 2시경 깨워져 옷을 입고 지하실로 안내되었다.[162] 니콜라이 2세는 아내와 아들을 위해 의자를 요청했고, 유로프스키는 두 개의 의자를 가져오게 했다.[162] 유로프스키는 우랄 노동자 대표 소비에트가 그들을 처형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고, 니콜라이 2세는 "뭐라고요? 무슨 말씀이십니까?"라고 물었다.[162] 처형자들은 총격을 시작했고, 니콜라이 2세가 가장 먼저 사망했다.[163]
시체들은 인근 숲으로 옮겨져 불태워졌다.[168] 유해는 산에 담가졌고, 사용되지 않는 갱도에 버려졌다.[168]
3. 니콜라이 2세의 사후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니콜라이 2세와 그의 직계가족들은 순교자로서 러시아 정교회의 성인으로 시성되었다.[334]
1991년 예카테린부르크 근처 숲에서 발견된 시신은 DNA 검사를 통해 니콜라이 2세 가족의 시신으로 확인되었다. 이후 러시아는 니콜라이 2세 가족의 시신을 찾았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베드로-바울로 성당에 안치하였다. 2008년 10월 1일 러시아 대법원은 니콜라이 2세가 정치적 탄압에 의해 희생되었다는 판결을 내려, 그의 정치적 복권이 이루어지게 되었다.[334]
1979년 아마추어 고고학자 알렉산더 아브도닌이 스베르들롭스크(예카테린부르크) 근처에서 니콜라이 2세와 가족들의 유해를 발견했다.[170][171] 1998년 1월, DNA 분석을 통해 이 유해는 니콜라이 2세와 그의 가족의 유해로 공식 확인되었다.[172][173][174][175]
2007년 7월, 예카테린부르크 근처에서 니콜라이 2세의 두 자녀인 알렉세이와 한 딸의 유골이 발견되었다.[176] 2008년 4월, DNA 검사 결과 이 유골이 알렉세이와 그의 딸 중 한 명의 것임이 밝혀졌고,[178] 같은 날 러시아 당국은 가족 전체의 유해가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178][179]
2008년 10월 1일, 러시아 대법원은 니콜라이 2세와 그의 가족이 정치적 박해의 희생자이며 재활되어야 한다고 판결했다.[180][181] 2009년 3월, DNA 검사 결과가 발표되어 2007년에 발견된 두 구의 시신이 알렉세이와 그의 자매 중 한 명의 시신임이 확인되었다.[182]
2015년 말, 러시아 정교회의 압력으로 러시아 수사관들은 추가 DNA 검사를 위해 니콜라이 2세와 그의 아내 알렉산드라의 시신을 발굴했고, 이 검사는 유골이 부부의 것임을 확인했다.[184][185][186][187]
1998년 DNA 검사 후, 니콜라이 2세와 그의 직계 가족의 유해는 1998년 7월 17일, 암살 80주년에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이 의식에는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이 참석했다.[188]
1981년, 니콜라이 2세와 그의 직계 가족은 러시아 정교회 해외 교구에 의해 시복되어 순교자 성인으로 인정받았다.[190] 2000년 8월 14일, 러시아 정교회는 그들을 수난자로 시성하였다.[191]
4. 조지 5세와의 관계
니콜라이 2세의 어머니 마리아의 언니는 에드워드 7세의 왕비인 알렉산드라였고, 조지 5세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따라서 영국 국왕 조지 5세는 니콜라이 2세의 사촌이다.[330]
니콜라이 2세와 조지 5세는 서로 바뀌어도 친척조차 알아채지 못할 정도로 외모가 매우 닮았다. 러시아 혁명 후 영국으로 망명한 황제의 신하가 조지 5세를 알현했을 때, 니콜라이 2세가 살아 있다고 생각하고 무릎을 꿇었다고 한다. 또한 그의 황후 알렉산드라도 조지 5세의 사촌이었다.[330]
두 사람의 어머니들이 친자매였는데 이 역시 누가 누구인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동일하게 생겼다. 다만 성격은 정반대였는데, 조지 5세는 군인 기질이 강했던 반면 니콜라이 2세는 온순하고 우유부단한 성격이었다.[330]
자녀의 경우, 니콜라이 2세는 1남 4녀, 조지 5세는 5남 1녀를 두었다. 니콜라이 2세의 자녀들은 모두 선량했던 반면, 조지 5세의 장남 에드워드 8세는 나치를 숭상했고 차남 조지 6세는 말더듬이였다. 또한 두 사람 모두 막내 아들이 병을 앓았는데, 니콜라이 2세의 막내 아들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는 혈우병을, 조지 5세의 막내 아들 영국 왕자 존은 뇌전증을 앓았다.[330]
말년의 경우, 니콜라이 2세는 적군에 의해 폐위당하고 총살당한 반면 조지 5세는 천수를 누리고 사망했다.[330]
제1차 세계 대전 중 혁명이 일어난 직후, 니콜라이 2세는 조지 5세가 통치하는 영국으로 망명하려 했다. 그러나 영국 노동당이 세력을 키우는 가운데, 사회주의에 호의적인 노동자와 지식 계급의 폭동을 우려한 영국 정부는 이 요청을 묵살했다. 또한 자유주의를 신봉하는 영국 내에는 전제적인 러시아에 대한 반감이 존재하여, 영국은 왕실의 망명 요청을 거부했다. 사촌인 빌헬름 2세 (독일 황제)는 니콜라이 2세에게 독일로의 망명을 권유했으나, 독일과 러시아는 교전국이었고 전선에서 직접 지휘를 맡았던 니콜라이 2세는 교전국으로의 망명을 주저했다.[330]
5. 가족 관계
Алекса́ндра Фёдоровна|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ru와 결혼하여 1남 4녀를 두었다.
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 |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 1895년 11월 15일 | 1918년 7월 17일 | 22세의 나이로 총살당함 |
![]() |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 1897년 6월 10일 | 1918년 7월 17일 | 21세의 나이로 총살당함 |
![]() |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 1899년 6월 26일 | 1918년 7월 17일 | 19세의 나이로 총살당함 |
![]() |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 1901년 6월 18일 | 1918년 7월 17일 | 17세의 나이로 총살당함 |
![]() |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 | 1904년 8월 12일 | 1918년 7월 17일 | 13세의 나이로 총살당함[84] |
6. 니콜라이 1세와의 공통점
니콜라이 2세는 19세기의 황제였던 니콜라이 1세와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 황제로서 이름이 같다.
- 부인의 이름을 러시아식으로 개명한 것이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로 같다.
- 자녀의 이름 중에 올가와 마리아가 있다. (그래서 이름 다음에 니콜라이의 자식이라는 뜻의 '니콜라예브나'가 있다.)
- 두 사람 모두 재위 기간 이전 또는 재위 초기에 암살 위협을 당했다. (니콜라이 1세는 데카브리스트의 난을 겪었고, 니콜라이 2세는 즉위를 앞두고 오쓰 사건으로 목숨을 잃을 뻔했다. )
- 니콜라이 1세와 니콜라이 2세 모두 재위 말기에 일어난 전쟁으로 큰 정치적 타격을 입었다.
- 니콜라이 1세는 크림 전쟁으로 니콜라이 1세가 추진해온 반동 정책이 큰 타격을 입었다.
- 니콜라이 2세는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민심이 나빠져 결국 러시아 혁명으로 퇴위한 후, 유배지에서 총살당했다.
참조
[1]
웹사이트
Восстановим историческую справедливость!
https://xn----7sbbz2[...]
2021-02-17
[2]
논문
Nicholas II and the Russo-Japanese War
[3]
서적
Nicholas II: Last of the Tsars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Chronicle of the Russian Tsars
Thames And Hudson
1999
[5]
서적
Высочайше утверждённый церемониал о святом крещении его императорскаго высочества государя великаго князя Николая Александровича // Русский инвалид.
[6]
논문
Династия Романовых: генеалогия и антропонимика
https://shakko.wordp[...]
[7]
서적
The letters of Tsar Nicholas and Empress Marie: being confidential correspondence between Nicholas II, last of the Tsars, and his mother, Dowager Empress Maria Feodorovna
Nicholson and Watson
[8]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Sutton Publishing
[9]
서적
King, Kaiser, Tsar: Three Royal Cousins Who Led the World to War
Walker & Company
[10]
서적
King Edward the Seventh
E.P. Dutton & Co
[11]
문서
1 March 1881 in the Julian calendar then in use in Russia, which is the same day as 13 March 1881 in the Gregorian calendar used elsewhere at that time.
[12]
참고자료
Massie (1967)
[13]
참고자료
King (1994)
[14]
논문
Tattoo or Taboo? The Social Stigma of Tatoos
2019
[15]
서적
Dancing in Petersburg
London
[16]
참고자료
Massie (1967)
[17]
서적
Journal Intime de Nicholas II
Payot
[18]
뉴스
The Health of the Czar
http://www.britishne[...]
1894-02-15
[19]
참고자료
King (1994)
[20]
뉴스
The Czarewitch
http://www.britishne[...]
1894-07-30
[21]
참고자료
King (2006)
[22]
뉴스
The Czar and Princess Alix. Another Manifesto
http://www.britishne[...]
1894-11-05
[23]
참고자료
Figes
[24]
서적
Excerpt from ''Anna of All the Russias''
Vintage
[25]
Thesis
The House of Morgan and Its Investments in Russia, 1905–1918
Texas Tech University
1974
[26]
뉴스
Czar Alexander's Funeral
http://www.britishne[...]
1894-11-20
[27]
참고자료
Massie (1967)
[28]
참고자료
Massie (1967)
[29]
참고자료
Warth
[30]
참고자료
Figes
[31]
서적
Journal Intime de Nicholas II
Payot
[32]
서적
Nicholas II, The Last of the Tsars
Cassell and Co., Ltd.
[33]
참고자료
Warth
[34]
참고자료
Massie (1967)
[35]
참고자료
Warth
[36]
서적
King (2006)
[37]
서적
Twilight of Splendor: the Court of Queen Victoria in Her Diamond Jubilee Year
John Wiley & Sons
2007
[38]
논문
Emperor Nicholas II as an Orthodox Tsar
2012
[39]
서적
King (2006)
[40]
서적
Nicholas II: The Life and Reign of Russia's Last Monarch
1997
[41]
서적
Nicholas II
[42]
서적
The Hague Conferences and International Politics, 1898–1915
https://www.amazon.c[...]
2018
[43]
논문
The Genesis of the First Hague Peace Conference
https://www.jstor.or[...]
1936
[44]
웹사이트
The Nomination Database for the Nobel Prize in Peace, 1901–1956
https://www.nobelpri[...]
2014-05-01
[45]
논문
Nicholas II and the Call for the First Hague Conference
https://www.jstor.or[...]
1974
[46]
웹사이트
Tsar Nicholas II: Peace and International Jurisdiction
https://www.peacepal[...]
2021-02-27
[4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48]
논문
Nicholas II and the Russo-Japanese War
http://home.ku.edu.t[...]
1981
[49]
서적
The 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td.
2022-02-16
[50]
웹사이트
The Last Tsar – Tsar Nicholas II of Russia: Protect us Lord, for We Reign Too Young
http://www.historyis[...]
2019-05-29
[51]
서적
The Road to 1914: The War That Ended Peace
Random House Trade Paperbacks
2014
[52]
서적
The Bolsheviks in Power: The First Year of Soviet Rule in Petrograd
https://books.google[...]
Indiana UP
2020-09-16
[53]
서적
World War I
Dorling Kindersley Publishing
2003
[54]
서적
Warth
[55]
논문
Nicholas II and the Japanese body: Images and decision-making on the eve of the Russo-Japanese War
http://asia.haifa.ac[...]
1998
[56]
논문
Kowner (1998)
1998
[57]
서적
The Road to 1914: The War That Ended Peace
Random House Trade Paperbacks
2014
[58]
웹사이트
Beyond the Pale: The Pogroms of 1903–1906
http://www.friends-p[...]
2008-07-17
[59]
서적
Massie (1967)
[60]
서적
Two hundred years together
Moscow
2001
[61]
서적
Figes
[62]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967
[63]
웹사이트
The Americanization of the Finns
http://www.genealogi[...]
[64]
서적
An Armchair Traveller's History of Finland
Haus Publishing
2014
[65]
서적
Kansalaiskalenteri 1991
WSOY
1990
[66]
웹사이트
Vihattu tsaari Nikolai II vieraili Helsingissä 1915
https://yle.fi/aihe/[...]
[67]
웹사이트
Tuskallinen verilöyly päätti vuosisatoja kestäneen hallitsijuuden: Netflix-uutuus nostaa pinnalle Venäjän tsaariperheen julman kohtalon
https://www.is.fi/vi[...]
[68]
서적
Massie (1967)
[69]
서적
Massie (1967)
[70]
서적
Massie (1967)
[71]
웹사이트
State Archive of the Russian Federation, ф.601.ОП.1, д.248. Diary of Nickolas Romanov. 9 January 1905. (in Russian)
http://militera.lib.[...]
Militera.lib.ru
2010-10-25
[72]
잡지
Record of Current Events (From December 21, 1904 to January 20, 1905)
https://books.google[...]
The Review of Reviews Company
1905-01-06
[73]
잡지
The Doom of Russian Autocracy
https://books.google[...]
The Review of Reviews Company
1905-01-06
[74]
서적
The Last Grand Duchess
Finedawn Publishers
1985
[75]
서적
Shadow of Democracy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A History of the Soviet Unio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79]
서적
Nicholas II, The Last Tsar
Routledge & Kegan Paul
1974
[80]
웹사이트
История России в портретах. В 2-х тт. Т.1. с. 285–308 Сергей Витте
https://www.peoples.[...]
2018-12-05
[81]
웹사이트
Features And Figures Of The Past Covernment And Opinion In The Reign Of Nicholas II
https://archive.org/[...]
2018-12-05
[82]
서적
Witte's Memoirs
[83]
논문
The emergence of" freedom of conscience" in imperial Russia
https://muse.jhu.edu[...]
2012
[84]
웹사이트
Nicolas' diary 1905 (in Russian)
http://www.rus-sky.c[...]
Rus-sky.com
2013-04-28
[85]
서적
Russia:The Once and Future Empire From Pre-History to Putin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6
[86]
서적
A People's Tragedy, The Russian Revolution: 1891–1924
Penguin Books US
1998
[8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
[88]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
[89]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
[90]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
[91]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
[92]
논문
Nicholas II and Stolypin's Cabinet
2012
[9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
[94]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
[95]
서적
[96]
논문
Before Rasputin: Piety and the Occult at the Court of Nicholas II
1985
[9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
[98]
논문
The Anglo-Russian Convention and the Problem of Central Asia, 1907–1914
[99]
서적
King, Kaiser, Tsar: Three Royal Cousins Who Led the World to War
Walker & Company
2006
[100]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6
[101]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6
[102]
서적
A History of Modern Europe Volume Two
W.W. Norton & Company
2009
[103]
서적
The First World War, Vol I: To Arms
2001
[104]
서적
Origins of World War One
2003
[105]
서적
[106]
웹사이트
Germany during World War One
http://www.geocities[...]
2009-09-07
[107]
웹사이트
World War I Declarations
https://www.loc.gov/[...]
The Library of Congress
2019-09-05
[108]
문서
Tames
[109]
논문
A Study of Grand Duke Nikolai Nikolaevich as Supreme Commander of the Russian Army, 1914–1915
https://www.jstor.or[...]
2022-11-10
[110]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The Last Tsar and His Family
[111]
문서
Tames
[112]
서적
Little Mother of Russia
Holmes and Meier
[113]
서적
The Fate of the Romanovs
John Wiley & Sons
[114]
문서
Tames
[115]
논문
Monarchists Against Their Monarch: The Rightists' Criticism of Tsar Nicholas II
http://repository.bi[...]
2019-07-27
[116]
백과사전
World War I – Killed, wounded, and missing
https://www.britanni[...]
2019-07-29
[117]
문서
Warth
[118]
문서
Tames
[119]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The Fall of the Romanov Dynasty
The Modern Library
2016-11-19
[120]
서적
A People's Tragedy, The Russian Revolution: 1891–1924
Penguin Books US
1998
[121]
문서
Tames
[122]
서적
[123]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The Last Tsar and His Family
[124]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The Last Tsar and His Family
[125]
서적
The Emperors: How Europe's Rulers Were Destroyed by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Amberley
[126]
서적
King George V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뉴스
Five myths about the Romanovs
https://www.washingt[...]
2018-10-26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40]
서적
[141]
서적
Service
[142]
서적
Service
[143]
서적
Service
[144]
서적
Service
[145]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46]
서적
Tames
[147]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48]
서적
Service
[149]
서적
Service
[150]
서적
Service
[151]
서적
Service
[152]
서적
Service
[153]
서적
Service
[154]
서적
Service
[155]
서적
Service
[156]
서적
Service
[157]
서적
Service
[158]
서적
Service
[159]
서적
Rappaport
[160]
서적
Service
[161]
서적
Service
[162]
서적
Nicholas & Alexandra – The Last Imperial Family of Tsarist Russia
Booth-Clibborn Editions
[163]
서적
Radzinsky
[164]
서적
Massie (1995)
[165]
서적
Massie (1995)
[166]
서적
The Kitchen Boy: A Novel of the Last Tsar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US
[167]
서적
The Kitchen Boy
https://books.google[...]
[168]
서적
Service
[169]
서적
Service
[170]
서적
The Romanovs: The Final Chapter
https://books.google[...]
Modern Library
[171]
학술지
The identification of the Romanovs: Can we (finally) put the controversies to rest?
[172]
웹사이트
Экспертиза подтвердила, что найденные останки принадлежат Николаю II
http://www.tass-ural[...]
ITAR-TASS
2008-12-05
[173]
학술지
Mystery Solved: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Missing Romanov Children Using DNA Analysis
[174]
웹사이트
Famous DNA
http://www.isogg.org[...]
Isogg.org
2010-10-25
[175]
학술지
A high observed substitution rate in the human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176]
뉴스
Bones found by Russian builder finally solve riddle of the missing Romanovs
https://www.theguard[...]
2010-05-20
[177]
뉴스
Remains of Tsar missing children found
https://www.reuters.[...]
2021-07-29
[178]
뉴스
DNA Confirms Remains of Tsar's Children
http://www.cbsnews.c[...]
2008-04-30
[179]
논문
Genomic identification in historical case of the Nicholas II royal family
[180]
뉴스
Russia's last Tsar rehabilitated
http://news.bbc.co.u[...]
[181]
잡지
Russia's Last Tsar Declared Victim of Repression
http://www.time.com/[...]
[182]
뉴스
DNA proves Bolsheviks killed all of Russian Tsar's children
http://ireport.cnn.c[...]
2008-12-22
[183]
웹사이트
Russia readies to exhume Tsar Alexander III in Romanov probe
https://www.afp.com/[...]
Agence France-Presse
2015-11-03
[184]
뉴스
Russia exhumes bones of assassinated Tsar Nicholas and wife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9-24
[185]
뉴스
New DNA tests establish remains of Tsar Nicholas II and wife are authentic
https://www.ibtimes.[...]
2015-11-15
[186]
뉴스
Russia says DNA tests confirm remains of country's last tsar are genuine
https://uk.reuters.c[...]
2015-11-11
[187]
뉴스
DNA Testing Verifies Bones of Russia's Last Tsar
https://themoscowtim[...]
[188]
뉴스
Romanovs laid to rest
http://news.bbc.co.u[...]
BBC News
1998-07-17
[189]
웹사이트
17 July 1998: The funeral of Tsar Nicholas II
http://www.romanovfa[...]
1998-07-17
[190]
웹사이트
The Icons that Canonized the Holy Royal Martyrs
http://iconreader.wo[...]
[191]
웹사이트
Orthodox Terminology
http://churchmothero[...]
[192]
문서
Massie (1995)
[193]
웹사이트
Miracle of the Child Martyr Grand Duchess Maria
http://www.serfes.or[...]
[194]
웹사이트
A Miracle Through the Prayers of Tsar Nicholas II and Tsarevich Alexis
http://www.serfes.or[...]
[195]
서적
History of the USSR in Three Part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Great October Socialist Revolution
https://books.google[...]
Progress Publishers.
[196]
웹사이트
Трагедия на Ходынском поле
http://www.univer.om[...]
Omsk State University
[197]
웹사이트
Восстановим историческую справедливость!
https://xn----7sbbz2[...]
[198]
서적
Chronicle of the Russian Tsars
Thames And Hudson
1999
[199]
서적
The Guns of August
Presidio Press
[200]
문서
Massie (1967)
[201]
웹사이트
The main merits of Emperor Nicholas II
http://ruskline.ru/o[...]
2017
[202]
웹사이트
On the Title of His Imperial Majesty and the State Coat of Arms
http://www.imperialh[...]
[203]
논문
Severnaya Zemlya: the last major discovery
[204]
웹사이트
Архипелаг Северная Земля – один из наиболее крупных районов оледенения на территории России
http://my.krskstate.[...]
[205]
웹사이트
http://newslab.ru/ne[...]
2007-05-27
[206]
웹사이트
Russian Imperial Army – Emperor Nicholas II of Russia
http://regiment.ru/b[...]
[207]
웹사이트
Visits of the Slavic Monarchs to Russia
https://ruskline.ru/[...]
[208]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12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9]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210]
웹사이트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211]
논문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supp.)
https://babel.hathit[...]
2021-08-27
[212]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213]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Bayern
https://archive.org/[...]
[214]
논문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Staatsverlag
2021-10-14
[215]
서적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zs.thulb.uni[...]
[216]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Königreich Sachsen
https://babel.hathit[...]
Heinrich
[217]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https://archive.org/[...]
[218]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2021-09-11
[219]
웹사이트
Romanov Nicola II Czar di Russia
http://www.quirinale[...]
2018-08-05
[220]
서적
Almanach de Gotha
https://archive.org/[...]
Justus Perthes
[221]
논문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2020-08-16
[222]
뉴스
Partie Officielle
https://journaldemon[...]
1896-05-26
[223]
웹사이트
The Order of Sovereign Prince Danilo I
http://www.orderofda[...]
[224]
논문
Troca de Decorações entre os Reis de Portugal e os Imperadores da Rússia
https://www.academia[...]
2020-03-19
[225]
웹사이트
Image: carol-i-nicholas-ii.jpg, (500 × 315 px)
https://royalromania[...]
royalromania.files.wordpress.com
2015-09-06
[226]
서적
Slava i čast: Odlikovanja među Srbima, Srbi među odlikovanjima
Službeni Glasnik
[227]
웹사이트
การรับฮิสอิมปีเรียลไฮเนสแกรนด์ดุกซารวิตส์กรุงรุสเซีย
https://web.archive.[...]
2019-05-08
[228]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1887
[229]
서적
Svensk Rikskalender
https://runeberg.org[...]
[230]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London
[231]
서적
https://archive.org/[...]
[232]
웹사이트
Russian honours: Emperor Nicholas II of Russia
https://www.thegazet[...]
2018-11-26
[233]
백과사전
Alexander III, Emperor of Russia
[234]
웹사이트
Christian IX
http://kongehuset.dk[...]
The Danish Monarchy
[235]
백과사전
Alexander II, Emperor of Russia
[236]
간행물
Heiligenberg: Our Ardently Loved Hill
1995-07
[237]
백과사전
Louise (1817–1898)
http://www.kvinfo.dk[...]
2003-05-15
[238]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Atheneum
[239]
서적
The Lost Fortune of the Tsars
St. Martin's Griffin
[240]
서적
Les Princes Youssoupoff & les comtes Soumarkoff Elston
[241]
문서
従叔父で同名のニコライ大公の愛称である「ニコラーシャ」と区別した。
[242]
문서
ウォーンズ(2001)
[243]
문서
ダンコース(2001)
[244]
문서
ウォーンズ(2001)
[245]
문서
ウォーンズ(2001)
[246]
서적
マッシー(1996)
[247]
서적
リーベン(1993)
[248]
서적
リーベン(1993)
[249]
서적
リーベン(1993)
[250]
서적
リーベン(1993)
[251]
서적
リーベン(1993)
[252]
서적
ダンコース(2001)
[253]
서적
リーベン(1993)
[254]
서적
ダンコース(2001)
[255]
서적
リーベン(1993)
[256]
서적
リーベン(1993)
[257]
서적
ダンコース(2001)
[258]
서적
ダンコース(2001)
[259]
서적
キーン(2001)下巻
[260]
서적
リーベン(1993)
[261]
서적
名画で読み解く ロマノフ家12の物語
光文社
[262]
서적
キーン(2001)下巻
[263]
서적
保田(1990)
[264]
서적
キーン(2001)下巻
[265]
서적
キーン(2001)下巻
[266]
서적
保田(1990)
[267]
서적
キーン(2001)下巻
[268]
서적
ダンコース(2001)
[269]
서적
キーン(2001)下巻
[270]
서적
ラジンスキー(1993)上巻
[271]
서적
キーン(2001)下巻
[272]
서적
キーン(2001)下巻
[273]
서적
キーン(2001)下巻
[274]
서적
キーン(2001)下巻
[275]
서적
保田(1990)
[276]
서적
キーン(2001)下巻
[277]
서적
キーン(2001)下巻
[278]
서적
キーン(2001)下巻
[279]
서적
保田(1990)
[280]
서적
保田(1990)
[281]
서적
保田(1990)
[282]
서적
リーベン(1993)
[283]
서적
リーベン(1993)
[284]
서적
リーベン(1993)
[285]
서적
リーベン(1993)
[286]
서적
リーベン(1993)
[287]
서적
ダンコース(2001)
[288]
서적
ダンコース(2001)
[289]
서적
リーベン(1993)
[290]
서적
リーベン(1993)
[291]
서적
ダンコース(2001)
[292]
서적
ダンコース(2001)
[293]
서적
ダンコース(2001)
[294]
서적
田中・倉持・和田(1994)
[295]
서적
ダンコース(2001)
[296]
서적
坂井(1967)
[297]
서적
リーベン(1993)
[298]
서적
田中・倉持・和田(1994)
[299]
서적
リーベン(1993)
[300]
서적
ダンコース(2001)
[301]
서적
坂井(1967)
[302]
서적
リーベン(1993)
[303]
서적
ダンコース(2001)
[304]
뉴스
<外交は力だ>(1)旧韓末の救国外交「ロシア皇帝に送った高宗親書を初公開」
https://japanese.joi[...]
2015-08-12
[305]
서적
田中・倉持・和田(1994)
[306]
서적
ダンコース(2001)
[307]
서적
リーベン(1993)
[308]
서적
ダンコース(2001)
[309]
서적
リーベン(1993)
[310]
서적
ダンコース(2001)
[311]
서적
ダンコース(2001)
[312]
서적
ダンコース(2001)
[313]
서적
リーベン(1993)
[314]
서적
ダンコース(2001)
[315]
서적
ダンコース(2001)
[316]
서적
ダンコース(2001)
[317]
서적
リーベン(1993)
[318]
서적
ダンコース(2001)
[319]
서적
リーベン(1993)
[320]
서적
ダンコース(2001)
[321]
웹사이트
新日英“同盟” の時代 ―グローバルな海洋同盟の構築に向けて― {{!}} 一般社団法人平和政策研究所
https://ippjapan.org[...]
2018-09-20
[322]
웹사이트
【よみがえる日英同盟】日露戦争の勝利に大きく貢献 フランスの参戦防ぎ、ロシア・バルチック艦隊を邪魔した英国(2/2ページ)
https://www.zakzak.c[...]
2021-12-02
[323]
서적
ダンコース(2001)
[324]
서적
ダンコース(2001)
[325]
서적
ダンコース(2001)
[326]
논문
ニコライ2世の日記1917-1918年
https://ogu.repo.nii[...]
2017-12-31
[327]
서적
Dnevniki imperatora Nikolaâ II, 1894-1918
ROSSPÈN
2011
[328]
논문
アレクサンドラ・フョードロヴナの日記 1917-1918年
https://ogu.repo.nii[...]
2015-12-30
[329]
서적
アナスタシア―消えた皇女
角川文庫
[330]
웹사이트
Nicholas II - Blog & Alexander Palace Time Machine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6-10
[331]
웹사이트
The Human Side of the Tsar - Blog & Alexander Palace Time Machine
https://alexanderpal[...]
Alexander palace
2024-06-10
[332]
웹사이트
Последние дневники императрицы Александры Федоровны Романовой
https://emalkrest.na[...]
narod・ru
2024-06-02
[333]
블로그
Андрей Григорьев. Ультраправославные апологеты уподобили Николая II Христу
http://pitanov.livej[...]
[334]
뉴스
러' 마지막 황제 정치적 탄압으로 희생됐다
https://news.nave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정치인” 트뤼도에 뜨거운 눈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